윤동주 또다른고향 원문 분석 해석 시대적배경 1941

Author name

7월 5, 2025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스터디프렌드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윤동주 또다른고향이란 시의 원문을 분석 해석 해보려고 합니다.

시대적배경까지 알게 되시면 윤동주의 또다른 고향이란 시가 또 다르게 보이실거라 생각합니다.

윤동주 시인의 고향과 시대적 배경

윤동주 시인의 고향은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한반도가 아니라, 중국 만주(길림성 연변, 현재의 용정시)입니다.

1917년 그의 부모님은 일본의 지배를 피해 만주로 이주 했고, 그곳에서 윤동주는 태어나고 자랐습니다.

고향인 만주에는 많은 한민족 공동체가 있었지만, 일제의 식민지 지배는 그곳까지 미쳤고, 윤동주가 돌아온 고향도 더이상 예전의 고향이 아니었습니다.

이시가 쓰인 1941년은 그가 일본 유학중에 잠시 고향을 방문한 뒤였습니다.

하지만 그곳에서도 마음이 편하지 못했고 자신만의 이상을 찾아 또 다른 고향을 떠나야겠다는 결심을 시에 담아 냈습니다.

시 전문

고향에 돌아온 날 밤에

내 백골이 따라와 한 방에 누웠다.

어둔 방은 우주로 통하고

하늘에선가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온다.

어둠속에서 곱게 풍화작용하는

백골을 들여다보며

눈물 짓는 것이 내가 우는 것이냐

백골이 우는 것이냐.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이냐?

지조 높은 개는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어둠을 짖는 개는

나를 쫓는 것일 게다.

가자, 가자,

쫓기우는 사람처럼 가자.

백골몰래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에 가자.

시 해석

1연 -상실된 고향과 현실적 자아

고향에 돌아온 화자는 고향에서마저 위안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절망감에 사로잡힌 현실적 자아를 마주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고향은 일제에 의해 상실된 조국과 같은 공간으로, 더 이상 자신을 감싸주지 못하는 곳이 되어버렸습니다.

화자와 함께 방에 눕은 ‘백골’은 사회적이고 유한한 자아, 즉 지치고 무력한 현실적 자아를 상징합니다.

2연 -또 다른 고향의 희미한 기운

상실된 고향 속의 어두운 방은 닫힌 공간이지만 동시에 ‘우주로 통한다’고 표현합니다.

이 ‘우주’는 상실된 고향이 아닌, 화자가 꿈꾸는 이상적 세계를 뜻하며, ‘바람’은 화자의 자아를 그 이상적 공간으로 이끌어주는 매개체로 볼 수 있습니다.

현실의 고향에서 느낀 절망 속에서도 어렴풋이 이상을 향한 길이 열려 있음을 드러내는 대목입니다.

3연 자아의 성찰과 갈등

여기서 화자는 현실적 자아인 ‘백골’을 들여다보며 자아 성찰을 합니다.

그리고 흐르는 눈물이 현실적 자아의 것인지, 이상을 추구한는 자아의 것인지 혼란스러워 합니다.

이 대목은 현실에 안주하고자 하는 무력한 자아와, 이상을 쫓고자 하는 자아의 갈등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또한 ‘풍화작용’하며 무너져 가는 백골은 화자가 현실 속에서 점점 지쳐가고 있음을 상징합니다.

4~5연 -깨어있으라는 외침

두 자아 사이의 대립 속에 등장하는 ‘어둠을 짖는 개’는 화자를 깨우려는 목소리 입니다.

이는 화자가 안일한 현실적 태도를 버리고, 이상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내면의 외침이자 양심의 가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화자는 이 소리를 들으며 현실에 머물러선 안 된다는 사실을 자각하기 시작합니다.

6연- 결단과 이상향

마지막 연에서는 화자가 마침내 결단을 내립니다.

오랫동안 이어진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의 갈등을 끝내고, 무력한 자신을 버리고 이상 세계를 향해 떠나겠다고 다짐합니다.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은 현실의 고향이 아닌, 자신이 꿈꾸는 정신적 이샹항을 뜻합니다.

여기서 화자는 상실된 현실의 고향을 떠나, 스스로의 본질을 되찾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드러냅니다.

마무리하며

윤동주의 ‘또 다른 고향’은 일제의 억압과 현실의 무력함 속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이상을 향해 나아가려는 시인의 내면을 담아낸 작품입니다.

상실된 고향에서 느낀 절망과 혼란, 그리고 결국 이상을 쫓아 떠나려는 결심이 차분하지만 강렬하게 전해집니다.

이 시를 통해 우리도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각자의 마음 속이 이상향을 찾아가는 용기를 얻어보면 좋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윤동주 서시 전문 해석이 보고 싶으신 분은 클릭해보세요

댓글 남기기